한국 퀘벡학 연구자들을 위한 장학금 안내

국제퀘벡연구협회(AIEQ)에서 퀘벡 연구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장학금들을 아래와 같이 안내합니다. 박사과정생, 박사 후 과정생, 대학 교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장학금이 있으니 관심 있는 선생님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Appel à candidatures – Bourse d’excellence Gaston-Miron.

Date limite : 1er juin 2025

Offerte en partenariat par le Centre de recherche interuniversitaire sur la littérature et la culture au Québec (CRILCQ) et l’AIEQ, la bourse d’excellence Gaston-Miron permet à des étudiant.es de 3e cycle universitaire inscrit·es dans un établissement de l’extérieur du Canada de faire un stage de recherche en littérature et culture québécoises au Québec. 
 
Montant accordé : 5 000 $

더 알아보기


Appel à candidatures – Bourse de mobilité Jean-Cléo-Godin.

Date limite : 1er juin 2025

Offerte par le CRILCQ et l’AIEQ, cette bourse permet aux enseignant.es du post­se­condaire de l’extérieur du Québec de venir au CRILCQ pour y poursuivre des recherches et profiter de l’ensemble des activités (séminaires, colloques, conférences, etc.) afin de préparer un nouveau cours portant en tout ou en partie sur la littérature et la culture québécoises. Tout.e enseignant.e de niveau postsecondaire est admissible à l’exception des professeur.es titulaires d’un poste ou d’une chaire dans une université. Cette bourse d’une valeur de 7 000 $ doit servir à couvrir les frais d’un séjour de trois mois au Québec. Le séjour doit être effectué au cours de l’année universitaire suivant l’obtention de la bourse. Le.la candidat.e choisi.e sera appelé.e à participer activement aux activités et aux événements du CRILCQ.

더 알아보기


Appel à candidatures – Résidences scientifiques postdoctorales.

Date limite : 26 mai 2025

Le scientifique en chef du Québec, les Fonds de recherche du Québec (FRQ) et les Offices jeunesse internationaux du Québec (LOJIQ), en partenariat avec le ministère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et de la Francophonie (MRIF), lancent un sixième appel à candidatures pour des résidences scientifiques postdoctorales.Elles offrent à une personne titulaire d’un doctorat une résidence scientifique postdoctorale au sein de ces organisations, commençant au mois de septembre 2025, et ce, pour une période d’un an, renouvelable une seconde année. Dans une optique de promouvoir les carrières en recherche dans une diversité d’environnements de travail, ces résidences scientifiques postdoctorales permettront à 6 personnes doctorantes de s’initier et de contribuer à la diplomatie scientifique. Ces résidences scientifiques permettent, notamment, de soutenir les collaborations internationales interuniversitaires de recherche, de faire rayonner la recherche québécoise et d’élaborer des missions de recherches entre le Québec et le Sénégal, la Corée du Sud, la France, le Mexique, l’Allemagne et les États-Unis.

더 알아보기

2025 프랑코포니 영화상영회 ‘시네마 퀘벡’ 개최

2025년도 프랑코포니 주간을 맞이하여 주한퀘벡정부대표부에서 영화상영회 ‘시네마 퀘벡 Cinéma Québec‘을 개최합니다. 3월 28일~29일 이틀에 걸쳐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리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5 퀘벡주 소재 대학 설명회 초대의 건

3월 26일 퀘벡주에 위치한 3개 대학기관 방한을 기념하여, 주한퀘벡정부대표부에서 설명회 및 네트워킹 세션이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첨부된 초대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여를 희망하시는 회원 선생님께서는 초대문에도 포함되어 있는 구글 링크를 통해 3월 13일까지 신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또한, 각 참여대학을 소개하는 브로슈어도 아래에 PDF로 첨부하오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HEC 몬트리올 경영대학 (HEC Montréal)

국립 과학 연구원 (INRS)

라발 대학 (Université Laval)

2024년도 제26차 정기학술대회 성료

2024년 11월 16일(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브릭스문화관에서 열린 제26차 정기학술대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퀘백 이주 문학을 돌아보다”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는 주한퀘백정부대표부, 국제퀘벡연구협회(AIEQ), 주한캐나다대사관의 후원으로 진행되었으며, 다미앵 페레이라 주한퀘백정부대표부 대표님께서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기조 강연으로는 칼튼 대학교의 카트린 코르독 선생님께서 “이주 글쓰기를 하나의 라벨로 축소하지 않고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온라인 발표를 해주셨습니다. 또한 이날 학술대회에 앞서 10월 5일 일본 히로시마 대학교에서 열린 일본퀘백학회(AJEQ) 학술대회에 다녀오신 성균관대 박희태 선생님의 학회 참석 보고가 있었습니다.

세션 발표에서는 가즈코 오구라 선생님(릿쿄대)의 “상호문화적 글쓰기: 다니 라페리에르, 바쇼의 길동무”, 신옥근 선생님(공주대)의 “퀘벡의 이주문학과 프랑코아메리카”, 기영인 선생님(경북대)의 “이주문학의 정의와 보편성”, 이상훈 선생님(전남대)의 “퀘벡 이주 문학의 영화적 각색” 등 퀘벡 이주 문학과 문화 분야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퀘벡 이주 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한국퀘백학회는 앞으로도 한국과 퀘벡 간의 학문적 교류 증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귀중한 시간을 내어 참석해 주신 모든 발표자, 토론자, 회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퀘백학회 제10대 회장 한국외대 신정아 교수의 개회사

주한퀘백정부대표부 다미앵 페레이라 대표의 환영사

성균관대 박희태 교수의 일본퀘백학회 학술대회 참석 보고

칼튼 대학교 카트린 코르독 교수의 기조 강연(온라인)

릿쿄 대학교 가즈코 오구라 교수의 세션 발표

[한국퀘벡학회 라운드테이블]
작가 킴 투이와의 만남

  • 일시: 2024년 10월 14일(월) 16:00
  • 장소: 주한 캐나다 대사관


한국퀘벡학회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작가 킴 투이를 모시고 뜻깊은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프랑스어권문학 연구자들과 번역가, 캐나다 대사관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작가의 작품 세계와 창작 활동에 대한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참석자:

  • 킴 투이 (작가)
  • 신정아 (한국외국어대학교)
  • 오보배 (강원대학교)
  • 기영인 (경북대학교)
  • 김보현 (경기대학교)
  • 윤진 (번역가)
  • 고미진 (캐나다 대사관 공보관)
  • 루슬라 카츠 (캐나다 대사관 참사관)
  • 필립 케넬 (주한퀘벡정부대표부 참사관)
  • 이윤희 (주한퀘벡정부대표부 상무관)


90분간 진행된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작가의 대표작 『루』, 『만』 , 『엠』 등을 중심으로 그녀만의 독특한 글쓰기 방식과 작품 세계를 탐구하였습니다. 특히 난민 출신 작가로서의 정체성 문제, 여성주의적 관점 등 다양한 주제를 둘러싼 열띤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이번 행사는 동시대 캐나다 문학의 새로운 흐름을 이해하고, 다문화 사회에서 문학 글쓰기가 지닌 사회적 의미를 재고찰하는 귀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2023년 한국퀘벡학회 총회

2023년 한국퀘벡학회 총회

일시2023년 11월 18일 (토) 14:40-15:20 (GMT+9)
장소온라인 Zoom 화상학술대회
안건2023년 연간 학회 운영 결산
– 재무보고
– 학술보고
– 기타
차기 회장 선출

자료집